연구실 사고 정신적 외상(트라우마) 치유 지원 시범사업 계획(안)

<’20. 8. 11.(화), 과학기술안전기반팀>

□ 개 요

ㅇ (목  적)연구실 폭발, 화재, 가스누출 등 충격적인 재해를 경험 또는 목격한 연구활동종사자를 대상으로 사고로 인한 정신적 외상을 극복할 수 있도록 ‘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’ 지원

ㅇ (일  정) ’20.8월 ∼ 10월

ㅇ (대상자) 연구실 사고를 경험 또는 목격한 연구활동종사자

□ 추진방안

ㅇ 정신적 외상(트라우마) 치유 프로그램을 보유하고 있는 기관 및병원등과 연계하여 사업 참여 희망자를 대상으로 관리 프로그램 등 지원

-  (근로자) 근로자건강센터, 직업적 트라우마 전문상담센터, 국립정신건강센터 등 정신적 외상(트라우마) 전문 치료 기관과 연계하여 관리 프로그램 지원

-  (비근로자) 대학생, 대학원생 등 비근로자는 트라우마 전문 상담기관* 또는 병원과 연계하여 관리 프로그램 및 진료비 지원**(최대 5회/1인)

* 비근로자(대학(원)생 등) 상담 가능 기관: 국립정신건강센터(서울), 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(17개소)

** 이중지원 불가: 실손보험 또는 타 지원 프로그램 등으로 진료비를 보전받는 경우에는 미지원

[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지원 시범사업 추진 절차]

수요 조사

관계기관과

지원 세부내용 협의

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 지원

추가 조치

대학, 연구기관 등 공문 시행 및 정보시스템에 공지

지원 인원, 

일정 등 협의

 협의 내용에 따라 트라우마 관리 프로그램 지원

 지속적 관리가 필요한 경우 안내 제공

(8월)

(9월)

(10월)

(11∼12월)

□ 향후 계획

ㅇ 관계기관 협의 및 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 지원   : ∼’20.10월

- 1 -

붙임1

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 참여 신청서 양식

연구실 사고 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 참여 지원 신청서

기관명 

구분*

1. 대    학

3. 기업부설(연)

2. 연구기관

4. 기       타

신청자명

(대리신청 가능)

대리 신청자

전화번호

대리자 

전화번호

E- mail

대리자

E- mail

대리 신청자의 

직책*

1. 연구주체의 장

4. 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

2. 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

5. 동료(선‧후배 포함)

3. 연구실책임자

6. 기타(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)

상담 희망지역**

상담 희망기관**

※ 상담 가능기관

-  근로자 : 전국 근로자건강센터, 직업트라우마 전문상담센터(8개소),
국립정신
건강센터(서울), 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 

-  비근로자(학생 등) : 립정신건강센터(서울), 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

사고 형태*

(복수선택 가능)


1.

감전

2.

레이저/UV 조사

3.

방사선 누출

4.

병원체 감염

5.

유해물질 누출(화학/가스)

6.

이상온도 접촉(고온/저온)

7.

전도(넘어짐)

8.

절단‧베임‧찔림

9.

추락

10.

충돌

11.

폭발

12.

협착(끼임/깔림/눌림)

13.

화재

14.

기타(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 )

* 해당 항목에 체크

** 단, 상담사 및 운영 사정에 따라 참여 희망 지역·기관이 미반영 될 수 있음 


신청일  2020년    월    일

※ 트라우마 관리 프로그램 참여 희망자 별 신청서 제출

- 2 -

붙임2

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전문 프로그램 운영 기관

부처

센터명

주요 내용

비고

고용 노동부

근로자건강센터

ㅇ 목적

-  사업장에서 발생할 수 있는 노동자의 트라우마 예방을 위한 지원

ㅇ 대상

-  중대재해가 발생하여 산업재해 트라우마 관리가 필요한 사업장의 재해자 및 목격자

-  기타 사회적 이슈*로 트라우마 관리가 필요한 사업장의 재해자 및 목격자

* 대형재해 발생, 노동자의 자살 등

ㅇ 상담절차

상담신청

상담실시

지속관리

전국

23 개소

직업트라우마 전문상담센터

ㅇ 목적

-  충격적 사건을 경험‧목격한 근로자의 트라우마를 극복하고 정상적으로 일상에 복귀하도록 전문상담 지원

ㅇ 대상

-  중대재해 피해자 및 직간접 목격자

-  산재사고의 피해자 및 목격자로 심리적 충격이 큰 노동자 등

ㅇ 상담절차

의뢰

트라우마 교육

1차 상담

2차 상담

결과보고

근로자건강센터 中

8개소 

보건 복지부

국립정신건강센터

(국가트라우마센터)

ㅇ 목적

-  재난 트라우마 회복을 돕기 위한 프로그램 제공

ㅇ 대상

-  재난을 경험한 이후, 일상생활이나 직업생활에 어려움을 겪고 있는 분

* 대학(원)생 상담가능

ㅇ 상담절차

예약

검사지작성

평가면담

회복 

프로그램

모니터링

재난 증명 자료 有

→ 무료 상담

* 단, 약물치료 등 추가치료 시 비용 발생

(서울 1개소)

행정 안전부

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

ㅇ 목적

-  붕괴, 폭발 등 재난으로 심리적 충격을 받은 경험자에게 정상적으로 일상에 복귀하도록 지원

ㅇ 대상

-  재난을 경험한 이후, 일상생활에 어려움을 겪고 있는 분

* 대학(원)생 상담가능

ㅇ 상담절차

예약

평가면담

방문 상담

(최대 3회)

결과보고

전국

17 개소



- 3 -

붙임3

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

ㅇ 사고 재해자 및 목격자의 사전 설문조사 후 일대일 상담을 통해 정신적 외상 치유

사고 상황에 따라 상담 범위 및 기간이 상이 할 수 있음

<근로자건강센터의 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>

 

*출처 : 안전보건공단, 근로자건강센터

<직업적트라우마 전문상담센터의 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>

 

*출처 : 직업트라우마센터 ‘마음쓰담’

- 4 -

<국립정신건강센터의 정신적 외상 치유 프로그램>

 

*출처 : 국립정신건강센터(국가트라우마사업부)



- 5 -

<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 홍보리플릿>

 



- 6 -